국세법령정보시스템


 

한미조세조약

 

현재 사업을 하시는 자영업자 및 사업자 분들 중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돈을 벌기 시작하셨거나 미국에 투자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습니다. 이럴 때 궁금해지는 것이

세금문제 입니다. 예를들어 미국에서 돈을 벌어서 미국에 연방

그리고 주 정부에 세금을 내었는데 한국에서 또 세금을 내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이중과세로서 불합리하다는 생각이 들

것입니다. 한국과 미국 사이에는 한미조세조약을 맺어

이중과세를 방지하여 양국가간 투자를 장려하는데 한미조세조약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알아야 본인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미조세조약에 어떤 내용이 담겨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에는 세금을 국세청에서 관리를 합니다. 수 많은 세금 관련

법이나 정보들이 한 군데에 있어 잘 정리되어 있는 사이트가 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그 곳이 바로

국세법령정보시스템입니다.

국세법령정보시스템이란   

국세법령정보시스템은 사업자, 세무사, 회계사 등 국내 세금에

관련되어 있거나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는 정말 도움이 되는 사이트

입니다.

위 사진과 같이 사이트에 들어가면 조세법령과 조세조약을 포함 여러

세금 관련 정보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한미조세조약에 대해

알아보기로 했으니 조세조약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한국과 조세조약을 맺은 여러 국가가 나오는데 저희는

한미조세조약에 관심이 있으니 미국을 클릭하면 됩니다.

그러면 오른 쪽에는 영문본이 그리고 왼쪽에는 번역본이

나와있습니다. 아무리 한국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관련

지식 예를들어 의학, 법, 세법이 없다면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은데요. 그럴 땐 국세청 안내센터 126에

전화를 하여 상담을 받을 것을 추천드립니다.

국세청 안내번호: 126

예를들어 본인은 한미조세조약에 몇 조를 참고하여 미국에 세금

혜택을 받아야 되고 미국에 세금을 낼 필요가 없고 한국에만

세금을 내면 된다라고 생각을 하는데 미국 측에서 미국에

세금을 내고 남은 수익금을 한국으로 보낼 수 있다라고

주장을 하는 경우나 미국에 세금을 내고 한국에 돈이 입금이

되었을 때 어떤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등 궁금한 것이 있으면

국세청 안내번호 126에 전화를 하고 관련 부서에 연결하여 정보를

얻으면 됩니다.

* 국세청 안내센터 (126) 에서 받은 상담 내용은 법적 효력이 없기

때문에 전문가와 한 번더 상담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확실히 알고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어떤 일이든 처음에는 당황스럽고 시간도 많이 걸리고

힘든 점인데 한 번 겪고 나면 정말 아무 일도 아닙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많이 힘든 시기인데 위 정보가 많은 자영업자/사업자

분들에게 유익한 정보가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연관 된 글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

 

Tax Return

 


There are companies that manage year-end tax return when people get a job in a foreign country, but in the United States, they sometimes have to do it themselves. Having your first job in the U.S. as an international student or a foreigner has a lot of things to do on your own for a while. One of them is tax filing. In the United States, the tax reporting deadline is usually April 15th every year. Until then, when the data is sent to report taxes on the interest received from the bank, your earned income, etc., you have to do the tax report on that you have to report taxes on that basis. There are many ways to do tax filing. Either do it on your own or have a tax professional do it. People who pay for tax reports won't read this post. People who want to save money may read this post. I'll introduce how to file taxes for free. However, if you earn money from various investment sources such as stocks, real estate, etc., you can save taxes and get more tax returns by spending a little money and have a tax professional do it for you.

TurboTax

There are many free tax filing software in the United States. One of the most famous ones is TurboTax.

Not everything is free, and you'll have to pay for a complex tax filing, but if you don't, using TurboTax is really easy, simple and it is free.

First, if you are using TurboTax for the first time, click Create an account.

 

Then fill out the information above, click Create Account and create an account. Then, start the Tax filing and answer the questions in the software, and the tax report ends. At the end of the tax filing process, you will know whether you will get tax return or not. 

You need to know for sure and prepare thoroughly...

When you get a job as an international student and do the tax filing for the first time, you will gather different information. Moreover, it costs a lot of money to live in the U.S., so you want to do it as little as possible or free of charge. It's not all good just because it's free. Since it's free, the function is limited. Most of the times when you get a job as an international student, the source of income is simple, so it will be enough for a free function, but if you settle down in the U.S. and your income comes in a variety of ways, I recommend you pay and leave it to an expert.

That's all for today.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changed at any time, so please consult with an expert one more time.

 


Relevant Post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

 

세금 보고

 


한국에서 취업을 할 경우 연말정산을 회사에서 알아서

해주는 회사도 있지만 미국에서는 본인이 직접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학생 신분으로 미국에서 첫 직장 가진 것도

잠시 본인 스스로 해야 할 것들이 정말 많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세금 보고죠. 미국에서는 보통 세금 보고 마감일이 매년 4월 15일

입니다. 그 전까지 은행에서 받은 이자, 본인 근로소득 등에 대해

세금 보고 하라고 자료가 날라오면 그 근거로 세금보고를 알아서

해야 합니다. 세금 보고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본인

스스로 하는 법 그리고 돈을 주고 전문가에게 맡기는 법. 사실 돈 주고

세금 보고를 맡기는 분들은 이 글을 안 보실 것이고 세금 보고 하는

것도 돈을 아끼려고 하는 분들이 인터넷에서 이런 저런 정보를 얻다

이 글을 읽으시는 것이기 때문에 무료로 스스로 세금 보고 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한국과 마찬가지로

본인이 미국에서 N잡러이고 돈이 주식, 부동산 등 여러 투자처에서

들어오고 있다면 무료 보다는 조금이라도 돈을 써서 세금 전문가에게

세금 보고를 맡기시는게 세금도 아끼고 더 나아가 Tax Return 받을

것이 있으면 더 받을 수 있습니다.

터보텍스 (TurboTax)

미국에는 여러 무료 세금 보고 소프트웨어들이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터보텍스입니다.

모든 것이 무료가 아니고 복잡한 세금 보고를 하려면 돈을 주고

세금보고를 해야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터보텍스를 사용하는 것은

정말 간편하고 간단합니다.

우선 처음 터보텍스를 사용하는 것이라면 Create an account를

클릭합니다.

 

그런다음 위 정보를 기입한 후 Create Account를 클릭하고 계정을

만듭니다. 그런다음 Tax filing을 시작하여 소프트웨어에서 물어보는

것에대한 답변만 하면 세금보고가 끝납니다. 만약 본인이 세금 환급

받을 것이 있다면 환급을 받고 더 세금을 내야한다면 세금을

내야하겠죠. 이 것은 한국이나 미국이나 동일합니다.

철저히 알아보고 하자...

유학생 신분으로 힘들게 취업을 하고 처음 세금 보고를 할 때면 이런

저런 정보를 찾게 됩니다. 더구나 타지에서 돈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세금 보고 할 때도 최대한 돈이 적게 아니면 무료로 하고 싶죠.

무료라고 해서 다 좋은 건 아닙니다. 아무래도 무료인만큼 기능이

제한적이죠. 유학생 신분으로 취직을 했을 때는 소득원이 간단할

경우가 대부분이다보니 무료 기능으로 충분하겠지만 본인이 미국에

정착하게 되어 소득이 이곳 저곳 복잡하게 들어온다면 돈을 주고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위 정보는 언제든지 변경 가능하니 전문가와 한 번더 상의 하시기 바랍니다.

 


연관 된 글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

 

미국 취업

 


지난 시간에 이어서 미국취업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미국. 현재도 그렇고 미래에도 한순간에 경제대국이라는

타이틀을 내어주지 않을 것 같은 나라. 비록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꾸준히 경제대국이라는 타이틀을 여러

나라로부터 견제당해왔고 견제당할 것이지만 그 타이틀을 하루

아침에 내어주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경제대국이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많은 기술, 경제 및 여러분야에서 선두자리를 가진 많은

기업들이 있고 2021년에 중국이 기술적 선두 입지를 다지고

경제면에서도 미국을 앞지르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전세계 인재들은 아직 미국을 더 선호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IT분야나 금융부분은 미국이 앞도적으로 다른 국가보다 좋기 때문에

관련 인재들은 실리콘밸리나 뉴욕 월가에서 근무를 희망합니다. 

그래서 이 전 시간에 미국에서 미국회사에 취직하는 방법들을

간단하게 이야기 해보았는데요.

 

 

[미국 취업] 방법 및 신분 (CPT, OPT, H1B, Green Card, 시민권)

미국 취업 지금은 미국 유학 열풍이 많이 시들해졌지만 과거에는 해외 유학이 한창 유행이였을 때가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유학을 갔다와서 고소득이 보장되는 때가 있었고 언론 그리고 책으로

lifelessonv.tistory.com

미국 대학교에 입학하여 본인이 원하는 회사에서 인턴을 하고 정직원

전환이 가장 좋은 방법인데 만약 인턴을 못 하고 대학교 졸업이

코앞인 분들을 위해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어떤 방법으로

미국 본토에서 미국 기업에 근무를 할 수 있는지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눈을 낮춰라

사실 본인이 미국 대학교에 다닐 경우 한국에서 대학교 나오는

것 보다 미국 취업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한국 대학교에서 졸업하고

미국에서 취업하는 경우도 종종 있지만 보통 J1 비자를 사용하여 한인

회사에서 1년 인턴하다 한국으로 귀국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만약

본인의 해외취업이 어떤 회사이든 상관이 없고 단지 미국에서 1년

정도 생활하고 싶어서 미국 취업을 꿈꾸는 것이라면 J1 비자를

활용하여 관련 업체에 지원을 하면 됩니다. 또한, 워킹홀리데이를

통해서도 미국 외 지역에서 해외취업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원하는 것이 미국에서 미국 회사에서 근무하는

것이라면 미국 대학교를 졸업하는 것이 1순위 입니다.

만약 미국 대학교에 진학은 했지만 학생시절 학점이 낮고

대외활동을 전혀 안했다면 미국 취업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추가적으로 인턴도 안 했다면요. 본인이 냉정하게 본인

스스로를 판단할 때 학점도 안 좋고 관련 대외활동도 안

했고 인턴 경험도 없다면 현실적으로 한인 기업이나

한국에서 취업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그래도

도전을 해보겠다면 본인의 눈을 우선 낮추고 회사에

지원을 시작하라고 조언을 드리고 싶습니다.

링크드인

링크드인이라고 아시나요? 한국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링크드인을 통해 학교 친구, 선배 등과 친구

추가를 통해 인맥을 쌓을 수 있는데요. 우선 링크드인 프로필을

작성을 하라고 조언을 드리고 싶습니다. 만약 본인이 학창 시절

활동을 한 것이 없고 학점도 낮다면 링크드인 프로필을 채우면서

반성을 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또한 학교 선배들이나

본인이 입사하기를 원하는 회사 인사담당자나 직원 분들에게 친구

추가나 메시지를 보내도 묵묵부답일 가능성도 큽니다. 그렇다고

포기는 하지 말지만 답변이 없다고 계속적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은 민폐가 되니 조심을 해야 합니다. 또한, 링크드인을 통해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고하더라도 그 것이 곧 입사가 될

것이라는 큰 꿈을 가지면 안됩니다. 그 자리에서는 순수하게 조언을

얻는다라고 생각해야지 입사를 시켜달라고 부담을 주면 안됩니다.

링크드인을 통해서도 회사 지원을 할 수 있는데요. 

본인 링크드인 계정과 프로필을 작성했다면 상단에서 Jobs를 클릭한

 위 사진과 같이 회사, 지역 등을 기입 후 Search를 클릭하면 관련된

회사들이 나옵니다.

회사 웹사이트

보통 회사 웹사이트에 들어가면 입사 관련 페이지가 별도로 있습니다.

예를들어 본인이 취업하기 희망하는 회사가 Goldman Sachs라면

구글에 Goldman Sachs를 서치하면 아래와 같이 검색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그런다음 Careers를 클릭합니다. 그런다음 신입인지 경력인지에 따라

선택 후 본인이 원하는 자리가 있으면 지원을 하면 되는데 보통 관련

포지션에 따라 requirement가 있는데 본인 현재 위치가 회사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회사에서 요구하는 최소학점이 4.0만점에 3.5이상인데

본인 학점이 2.0이라면 서류전형을 통과할 가능성이 매우 낮겠죠.

요구사항 외에도 관련 정보와 만약 인터뷰가 잡혔다면 많은

정보를 회사 웹사이트에서 얻을 수 있으니 참고를 하면 좋습니다.

학교 동문, 커리어 센터, 한인 학생회

미국 대학교에서는 보통 Alumni라고하여 동문과 커리어 센터가 잘

되어있습니다. 특히 외국인신분으로 취업을 희망할 때 어떻게 미국에

취업을 했는지 이미 같은 대학교에 졸업을 하고 미국 취업에 성공한

학교 동문들에게 연락을 취할 수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시기에 따라

미국 정부의 유학생의 취업 정책이 달라지기만 과거나 현재 미래에도

유학생 신분으로 미국에 취업 성공을 하고 정착을 했다는 것은 많은

어려움을 이겨내었다는 것이기 때문에 단지 이야기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외국인 중 특히 한국 유학생 중 미국 취업에 성공한 선배들을

만나보고 싶다면 한인 학생회에 연락을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래도 해외에 나가면 한국 사람들끼리 잘 모이는 경향이 있어서

한인 학생회에 미국 취업 성공한 분을 소개해달라고 하면 소개받을

있습니다. 

포기하지말고 계속 지원해라

외국인 신분으로 미국에 있는 미국 회사에 취업하기란 정말 힘듭니다.

외국인을 고용하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계속 고용 유지를 위해

H1B라는 취업비자를 지원해줘야하는데 회사에서 가지는 재정적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자 스폰서가

필요하다고 하면 미국 회사에서 꺼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다른 미국인들보다 뛰어난 무언가가 있어야 취업에 성공을 할 수

있다라고 생각을 해야합니다.

미국 취업은 현실이다...

처음 유학을 결정하고 미국으로 갈 때는 장미빛 세상이 펼쳐질

것이라고 큰 꿈과 희망을 안고 가는 것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미국에서 졸업만 하면 대도시에 있는 글로벌 대기업에서 근무를 할 수

있을 것 같은.. 하지만 본인이 어떤 마음을 갖고 미국에 가느냐에 따라

유학이 성공이 될 수있고 실패가 될 수 있습니다. 몇몇 학생들은 미국

생활에 적응 못하고 밀려오는 고독감과 외로움 때문에 졸업도 못하고

 돌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만큼 새로운 환경에 적응을 잘하는

학생들은 미국에서도 높은 학점으로 졸업을 하고 본인이 원하는

기업에 입사하고 많은 것을 얻고 오겠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외로움과 여러 아픔을 안고 미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만 가지고

돌아오게 될 것입니다.

결국 유학의 최종 선택은 본인에게 있겠지만 유학을 가겠다고 최종

결정을 했다면 최대한 좋은 경험만 하고 왔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연관 된 글 

 

미국 공립 고등학교 교환학생

미국 고등학교 유학 지금은 미국 유학 열풍이 많이 시들해졌지만 과거에는 해외 유학이 한창 유행이였을 때가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유학을 갔다와서 고소득이 보장되는 때가 있었고 언론 그리

lifelessonv.tistory.com

 

 

 

[미국 대학교] 입학 과정

미국 대학교 유학 지금은 미국 유학 열풍이 많이 시들해졌지만 과거에는 해외 유학이 한창 유행이였을 때가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유학을 갔다와서 고소득이 보장되는 때가 있었고 언론 그리고

lifelessonv.tistory.com

 

 

미국 취업

미국 취업 지금은 미국 유학 열풍이 많이 시들해졌지만 과거에는 해외 유학이 한창 유행이였을 때가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유학을 갔다와서 고소득이 보장되는 때가 있었고 언론 그리고 책으로

lifelessonv.tistory.com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

 

The Way to Export Baby Products to the U.S.


 

CPC Certificate

 

Among the self-employed and business owners who are currently doing business, they want to sell their company's products to the U.S. market, but the products must comply with the CPSC regulations. Or you are told that you need to get CPC certification. Today's post will be helpful for those who are facing the issue as I will take some time to find out how you can get CPC certification and export it to the U.S. market.

The 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 (CPSIA) is..   

First of all, CPSIA stands for The 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 (USA), like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your country.
For the safety of the people (infants), certain products must pass the CPSIA test and CPC certification based on the test results to export them to the United States.

What Commodity Requires CPC Certificate?

In general, CPC issuance is essential to sell children's products under the age of 12 in the United States. Also, whether the product is produced in the U.S. or imported from abroad to the U.S., it must be CPC certified.

Cost

CPC issuance is free of charge. CPC issuance should be issued by importers or manufacturers in the United States.

In the certificate, 1) Product test & production date and place 2) Related laws
3) Laboratory Information 4) Product Description 5) Information of U.S. importers or manufacturers 6) Contact information for storage of product test results from the above companies is required.

You need to know for sure and prepare thoroughly...

Whatever happens, it's embarrassing and time consuming at first, but once you go through it, it's really nothing. It's a very difficult time around the world, and I hope the information above will be beneficial to many self-employed/business owners.

That's all for today.


Relevant Post [Please click the link below]

- [USA/Business] - Establishment of Corporation in the U.S. 

2020/10/29 - [USA/Business] - Establishment of Corporation in the U.S.

- [USA/Business] - The Way to Get a Free DUNS Number

2020/10/29 - [USA/Business] - The Way to Get a Free DUNS Number


- [USA/Business] - How to Complete W-8BEN-E Form

 

 

[USA] How to Complete W-8BEN-E Form

W-8BEN-E W-8BEN-E Among the self-employed and business owners who are currently doing business, some of them may have been asked to fill out W-8BEN-E while doing business with an American company...

lifelessonv.tistory.com

 

- How to export items subject to FDA to the U.S.


 

How to export items subject to FDA to the U.S.

How to export items subject to FDA to the U.S. FDA If you are planning to sell your products to the U.S. market, and if you are informed that the products are subject to FDA review or need to be FD..

lifelessonv.tistory.com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

 

How to export items subject to FDA to the U.S.


 

FDA

 

If you are planning to sell your products to the U.S. market, and if you are informed that the products are subject to FDA review or need to be FDA certified, you will take time to find out how you can export to the U.S. market.

FDA is..   

First of all, the FDA stands for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 Like an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your country, certain products must be certified by the FDA for the safety of the American people to export to the United States.

Required Information

First of all, you need the information below to export the products subject to FDA review to the United States.

1) Manufacturer (DEV), Korean exporter (DFE), and FDA registration # of the U.S. importer

2) Device Listing Number (LST)

3) Premarket (510K) #,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GMP), Quality System Regulation (QSR) - If necessary, the reference here is to be renewed in one year for Registration #. If you do not renew it, it will be deleted from the FDA Medical Device Registration and Listing website.

FDA Registration

In order to register a company or product with the FDA, the information will be sent via online. For example, I'll explain it to you with a medical device. There are two procedures for registering a medical device.

1. Paying for one year's registration

2. You have to go through the registration process.

The official registration will be done by the FDA Online Account Administration (OAA).

If you go to the site, you can see the screen above and if it's your first time registering, you can register with New User as "Create New Account."

How to verify if a drug and a company is listed on FDA

If your company has received FDA registration# and listing# for the product, let's see how to verify that the FDA has been properly listed.

First, go to the https://www.fda.gov/medical-devices site and scroll down, and you'll find links to search for a variety of things:

If you want to verify that your company's FDA registration # is properly registered, go to the site below.

https://www.accessdata.fda.gov/scripts/cdrh/cfdocs/cfRL/rl.cfm

Then you'll see the site above, and you can search by writing your own English company on the Establishment or Trade Name here and clicking the Search button.

You need to know for sure and prepare thoroughly...

Whatever happens, it's embarrassing and time consuming at first, but once you go through it, it's really nothing. It's a very difficult time around the world, and I hope the information above will be beneficial to many self-employed/business owners.

That's all for today.


Relevant Post [Please click the link below]

- [USA/Business] - Establishment of Corporation in the U.S. 

2020/10/29 - [USA/Business] - Establishment of Corporation in the U.S.

- [USA/Business] - The Way to Get a Free DUNS Number

2020/10/29 - [USA/Business] - The Way to Get a Free DUNS Number


- [USA/Business] - How to Complete W-8BEN-E Form

 

 

[USA] How to Complete W-8BEN-E Form

W-8BEN-E W-8BEN-E Among the self-employed and business owners who are currently doing business, some of them may have been asked to fill out W-8BEN-E while doing business with an American company...

lifelessonv.tistory.com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

 

W-8BEN-E

 


 

 

W-8BEN-E

 

Among the self-employed and business owners who are currently doing business, some of them may have been asked to fill out W-8BEN-E while doing business with an American company. If it's not your first time, you know how and what information you need to enter, but I prepared it for those who are embarrassed when they are asked to write it for the first time.

What is W-8BEN-E?? 

If you look at the form, it states "Certificate of Status of Beneficial Owner for United States Tax Withholding and Reporting (Entities)." In other words, "Proof of beneficiary status for U.S. tax withholding and reporting." After W-8BEN, E stands for Entity and must complete this form if it is a corporation. If you are an individual or a different type of company, you can fill out another form. If you submit this form, it will not be withheld from the United States. If you haven't submitted it, up to 30% of the tax can be paid. You must also complete this form under the Foreign Account Tax Compliance Act (FATCA) Foreign Account Tax Compliance Act (FATCA).

How to complete W-8BEN-E

Let's take a look at one by one. For general corporations, you can write Part I, Part III, Part XXV or Part XXVI and Part XXXX.

Part I

First, see the description.

Now, it's part I. Now you have to fill out all the documents in English. First, write your corporate name in English. Then, write your country in number 2 and check with the corporation if you are a corporation in number 4.

If money is coming from the United States, for example, through trade, check on "Active NFFE. Complete Part XXV." If you invest in a U.S. corporation and receive dividends, for example, check on "Passive NFFE. Complete Part XXVI."

You can fill out the address of your corporation in No. 6 and fill out the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in the last 9b.

Part III

 

Next is Part III. Check 14 a. and write your country in the blank, check 14 b. and check "Company with item that meet active trading or business test" if it means investing in a U.S. corporation and paying dividends, for example.

Part XXV or Part XXVI

For example, if money is coming in through trade, as checked with Part I, if you invest in a U.S. corporation and receive dividends, for example, you should check only Part XXVI.

Part XXX

Finally, sign, write your name, and date today in the signature box and check "I certify that I have the capacity to sign for the entity identified on line 1 of this form."

The way you fill out the form abov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business (e.g., listed company) or which country you are a citizen of.

You need to know for sure and prepare thoroughly...

Whatever happens, it's embarrassing and time consuming at first, but once you go through it, it's really nothing. It's a very difficult time around the world, and I hope the information above will be beneficial to many self-employed/business owners.

That's all for today.


Relevant Post [Please click the link below]

- [USA/Business] - Establishment of Corporation in the U.S. 

2020/10/29 - [USA/Business] - Establishment of Corporation in the U.S.

- [USA/Business] - The Way to Get a Free DUNS Number

2020/10/29 - [USA/Business] - The Way to Get a Free DUNS Number


- [USA/Business] - How to export items subject to FDA to the U.S.


 

How to export items subject to FDA to the U.S.

How to export items subject to FDA to the U.S. FDA If you are planning to sell your products to the U.S. market, and if you are informed that the products are subject to FDA review or need to be FD..

lifelessonv.tistory.com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

 

유아용품 미국으로 수출하기


 

CPC 인증

 

현재 사업을 하시는 자영업자 및 사업자 분들 중 미국시장으로 본인

회사의 상품을 판매를 하려고 하는데 상품이 CPSC 규제 준수를 해야

한다 혹은 CPC 인증을 받아야 된다라고 안내를 받았을 때 어떤

절차를 거쳐서 CPC 인증을 받고 미국시장으로 수출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The 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 (CPSIA)란   

우선 CPSIA란 U.S. (The 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의 약자로서 한국의 식약처처럼 미국

국민 (유아)의 안전을 위해 특정 상품에 대해 CPSIA

테스트를 통과하고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CPC 인증을 해야

미국으로 수출을 할 수가 있습니다.

어떤 제품이 CPC 인증이 필요할까?

보통 미국 내 12세 이하의 어린이용 제품을 판매하려면 CPC 발급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제품이 미국 내에서 생산이 되었든 해외에서

미국으로 수입을 하든 CPC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비용

CPC 발행은 무료입니다. CPC 발행은 미국 내 수입업체나 미국 내

제조업체가 발행해야 합니다.

인증서에는 1) 제품시험 & 생산 일자 및 장소 2) 관련 법률

3) 시험소 정보 4) 제품설명 5) 미국 수입업체 또는 제조업체 정보

6) 상기 업체 내 제품 시험 결과 보관 담당자 연락처

필요합니다.

확실히 알고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어떤 일이든 처음에는 당황스럽고 시간도 많이 걸리고

힘든 점인데 한 번 겪고 나면 정말 아무 일도 아닙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많이 힘든 시기인데 위 정보가 많은 자영업자/사업자

분들에게 유익한 정보가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연관 된 글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미국/사업] - 미국법인 설립 

2020/09/07 - [미국/사업] - 미국 법인 설립

 

- [미국/사업] - DUNS 넘버를 무료로 발급 받는 법 

2020/10/29 - [미국/사업] - DUNS 넘버를 무료로 발급 받는 법

 

- [미국/사업] - [미국] W-8BEN-E- 양식/서류 작성법 

2020/12/29 - [미국/사업] - [미국] W-8BEN-E 양식/서류 작성법

 

- [미국/사업] - FDA 상품 미국으로 수출하기 

 

FDA 상품 미국으로 수출하기

FDA 상품 미국으로 수출하기 FDA 현재 사업을 하시는 자영업자 및 사업자 분들 중 미국시장으로 본인 회사의 상품을 판매를 하려고 하는데 상품이 FDA 검토 대상이다 혹은 FDA 인증을 받아야 된다라

lifelessonv.tistory.com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한미조세조약

국세법령정보시스템 한미조세조약 현재 사업을 하시는 자영업자 및 사업자 분들 중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돈을 벌기 시작하셨거나 미국에 투자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습

lifelessonv.tistory.com

 

 

 

해외직구 구매대행업체 등록 (10억)

해외직구 구매대행 전자상거래 시장이 날로 커지고 있는 요즘 해외직구족들이 계속 늘어나고 구매대행업체들도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수 많은 구매대행 업체들은 사실 별도의 등록을 하지

lifelessonv.tistory.com

 

 

 

한국 법인이 EIN (Employer Identification Number) - 미국 고용주 식별 번호 무료로 발급 받기 (전화로 바로

EIN을 무료로 바로 발급 받는 법 Employer Identification Number 현재 사업을 하시는 자영업자 및 사업자 분들 중 미국과 사업을 하시다보면 U.S. TIN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TIN이란..   TIN이란 Taxpayer I..

lifelessonv.tistory.com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