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이야기 & 개인 절세'에 해당되는 글 26건

한국 부동산




미친 집 값



집 값이 정말 미쳤습니다. 서울 특정 지역 집 값 오르는 것과 본인

연봉을 생각하면 이젠 정말 집을 살 수 없겠구나라는 생각과 집을 산

사람이 얼마 지나지 않아 집 값이 얼마 올랐다는 말과 본인 연봉을

생각하면 허망한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청년들이 집 값 때문에 

결혼도 미루고 아기를 안 낳는다는 말을 들으면 정말 공감이

됩니다. 

성수동에 대표 아파트 중 한 곳이죠. 트리마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11평에 2020년 6월에 10억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거의 1평에

1억이네요. 어마어마합니다. 

그 외에 서울 아파트 집 값 오르는 속도를 보면 정말 무섭습니다.

직장인 분들 중에 억대 연봉을 꿈꾸는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그렇지만 억대 연봉이라고 할지라도 월 실수령액은

600만원대입니다. 이 것을 소비를 안하고 저축만 한다고 해도

연 8,000만원이 조금 안되죠. 억대 연봉 직장인도 서울 집 값을

보면 사기가 정말 어렵고 집 값 올라가는 속도를 보면 억대 연봉자도

자괴감이 듭니다. 이렇기 때문에 모든 영혼을 모아서 집을 산다고

하죠. 본인이 가지고 있는 모든 자산과 대출이란 대출은 모두 받아

청년들이 집을 사고 있습니다. 지금이 저점이라는 생각과 지금이

아니면 더 이상 집을 못 살 것이라는 공포 때문이죠.


무엇이 문제일까?


저는 어려서부터 서울 집 값은 안 떨어진다. 강남 불패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자기 집이 없는 것에 대한 서러움을

자녀들에게 가르치고 돈을 모으면 무조건 집을 먼저 구매하라는

교육을 받으신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 것이 오히려

독이였을까요? 자기 집을 꼭 장만해야하는 청년들은 무리를 해서

가능한 대출을 받아서라도 집을 사기 시작했고 이 것은 지속적

집 값 상승을 경인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대출을 막고 집에 대한

세금을 올리면서 다주택자들에게 집을 팔도록 유도한다고 하지만

이는 동시에 내 집을 꿈꾸는 청년들의 희망도 꺽고 있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요? 어떻게 해야 집 값을 잡을 수 있고 궁긍적으로

집 값을 잡는 것이 맞을까요? 

요즘 여론을 보면 다주택자에 대한 청년들의 분노가 심각합니다.

다주택자 입장에서 보면 내 돈주고 집을 샀고 그에 대한 차익이나

임대를 통한 수익을 얻는 것이 무엇이 문제라고 말을 하지만

집이라는 사람 욕구 중에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꺽어버린 것이

청년들의 분노를 이르켰습니다. 먹고살기 힘들다고 하죠? 제가

생각할 때 사는 것은 집을 가르키는데 아무리 성공하여 고연봉자가

되어도 집을 살 수 없을 정도로 집 값이 형성되고 지속적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청년들이 화가 나고 더나아가 먹는 것 즉

물가까지 부담이 될 정도로 올라가버리면 정말 많은 사람들이

들고 일어날지도 모릅니다. 

그러면 집 값을 현재 가격을 유지해야하는지 혹은 내려야 할까요?

무주택자 입장에서 보면 내리는 것이 합당합니다. 하지만 최근에

집을 구매한 청년들을 생각하면 집 값을 내리기가 싶지 않죠.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분께 의견을 물어보면 본인 처지에 따라 즉 현재

집을 보유하고 있는지 혹은 무주택자인지에 따라 답변이 나뉠 것

같습니다. 당연히 최근 집을 구매하셨거나 집을 보유하고 계시다면

계속 집 값이 오르기를 바랄 것이고 만약 무주택자라면 집 값이

내렸으면 하겠죠. 

 

집 값이 떨어지기는 할까??..

 집 값이 올라가는 것은 어쩌면 시대의 흐름처럼 당연할 것일지도

모릅니다. 다만 나라 경제 발전을 생각한다면 현재 집 값 상승률은

문제가 있습니다. 집 값 오르는 속도가 고액연봉자들도 부담을

느낄정도로 상승을 한다면 사람들은 일을 하는 것에 동기부여를

받지 못하고 집을 통해 경제활동을 하려 할 것입니다. 정말 나쁜

현상이죠.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

 

한국주식

 


 

급등주

 

급등주

 

돈돈돈. 돈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돈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있겠지만 돈에 관심이 없는 분들보다는 돈에 관심 많고 좋아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저는 한국 주식에 투자를 해왔습니다. 몇 년간요. 투자한 이유는

단순했습니다. 돈벌어서 여유있게 살고 싶어서요. 주식에 투자하는

유명한 분들 중에는 기업에 투자하여 나라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라면서 거창한 이유로 투자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어느 분들이나 주식 투자를 하는 궁긍적 이유는 투자를 통한

수익 발생을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라발전 등 여러

기타 이유들은 그냥 부수적인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주식에 투자를 하면서 수익을 얻기도 했지만 많이 잃기도

했습니다. 잃었을 때 회상해보면 대부분 급등하는 주식을 따라

매수했다가 갑자기 폭락하는 주가에 놀라 팔면서 손해를 보곤

했죠. 하루이틀 투자한 것도 아니고 몇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급등하는 주를 보면 심한 내적 갈등이 생깁니다. 하루이틀

상한가를 간 종목이면 오늘 사면 계속 상한가를 갈 것 같은 생각과

내 투자금이 2배, 3배 상승할 것이라는 행복한 상상을 하다보면

갈등이 더 심해지죠. 대부분의 개미투자자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에 있어서 손해를 본다는 것은 짧은 시간에 최대한의 수익을

기대하는 것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제가 비록 성공한 주식

투자자는 아니지만 몇 년간 투자를 해오면서 급등주들은 어떤

특징이 있고 저 나름 배운 것들을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분싸움

 

주가 오르고 내리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경제를 공부하신 분이라면

단순 수요와 공급에 법칙에 의해 웃돈을 주고도 사고 싶은 사람이

많다면 주가는 올라가는 것이고 반대로 팔고 싶은 사람이 많다면

주가는 내려가게 되죠. 제가 봐왔던 급등하는 주식 중 한 이유는

지분싸움 때문에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지분싸움이 왜 주가의

급등의 원인이 될까요? 웃돈을 주고도 주식을 더 많이 확보하려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주식 그래프

최근 지분싸움으로 급등한 주였죠. 한진칼입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올해 초 한진칼 주가가 급등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기사를 찾아보시면 남매 지분 싸움에 의해 대량매수가

들어오면서 지속적인 급등을 보여주었죠. 주식이라는 것이

참 재미있고 어려운 것이 급등을 하면 위와 같이 이유는 아는데

어디가 고점인지 모르기 때문에 어려운 것 같습니다. 차트 분석

등 여러 주가를 분석하는 방법이 있고 개개인 마다 투자 원칙이

있겠지만 손해를 보는 건 욕심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급등하다가 급락하는 구간이 보이시나요? 현재

저렇게 급락을 하는 구간이라면 나중에 다시 급등을 할 것이라고

누가 알겠습니다. 주식은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손해를 보기도 이익을 얻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가끔 주식

관련 글이나 영상들을 보다보면 본인이 가지고 있는 주식이

얼마까지 갈꺼냐고 물어보시는 분들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를 오래하신 분이라면 이 질문이 얼마나 어리석은

질문인지 알겠죠. 만약 질문을 받는 사람이 모든 주식마다

얼마까지 갔다가 급락을 하고 5년 후 10년 후 얼마까지 가는지

안다면 그 것은 그 사람이 신일 것이고 그 분은 이미 1조 이상의

부를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테마주

테마주가 정말 많습니다. 어떤 것이랑 관련있어서, 단지 이름이

비슷해서 오르는 주식들이 정말 많습니다. 

주식 그래프

디아이라는 주식을 아시나요? 위 그래프를 보시면 급등하는 구간이

있는데 왜 급등을 했는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만약 싸이

때문이었다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 때 강남스타일이 전

세계적으로 히트를 쳤을 때 급등하는 이유가 디아이가 싸이와

관련이 있어서 급등을 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대선 시기가

다가오면 어느 대선 후보자와 연관이 되어있다고 특정 주식이

급등을 하고 어떤 것이 유명하면 그와 관련 된 주식들이 심지어

이름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줄줄이 상승하는 일들이 일어납니다.

참 웃긴 일이죠. 그렇게 해서 수익을 얻는 분들도 계시지만 잃은

분들이 많은데 저는 대박을 바라는 그 욕심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 나열한 지분싸움, 테마주 이외에도 여러 이유로 주가는

급등을 하기도 급락을 하기도 합니다.  

주식투자에서 수익을 볼려면 가치투자를 해라..

가치투자, 몰빵하지마라 등 주식 투자에 있어서 여러 조언들이
 
많습니다. 길게 보면 이해가 가지만 단 시간에 큰 돈 벌려는
 
그리고 순간순간 내적갈등 때문에 주식투자는 재미있으면서 참
 
 어렵죠. 가치투자를 하기 위해선 투자 할 기업이 단기적으로 몇
 
년간이 아닌 길게 수십년 동안 지속적으로 존재하고 성장할 기업인지
 
파악을 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전 세계 1등이 될 저력이 있는지 일찍
 
파악하고 저가에 매수 한 후 매도를 하는 것이며 본인이 아무리 많은
 
시간을 투자해 그 기업을 발굴했다고 한 들 갑자기 어느 이유로 
 
회사가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한 기업에 모든 자금을 투자하는
 
것이 아닌 분산하여 위험을 분산해야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연관 된 글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돈 이야기] - 주식용어 (한국 주식) - 초보 

2020/08/14 - [돈 이야기] - 주식용어 (한국 주식) - 초보

- [돈 이야기] - LG화학 (일적분할 vs 물적분할) 

2020/09/18 - [돈 이야기] - LG화학 (일적분할 vs 물적분할)

- [돈 이야기] - [한국주식] 무상증자 vs 유상증자 

2020/10/26 - [돈 이야기] - [한국주식] 무상증자 vs 유상증자

 


 

 

 

블로그 이미지

Life Lesson V

개인적으로 경험한 연애, 결혼, 육아, 인간관계, 돈에 관한 블로그이며 구독자들과 서로 소통하고 고민을 공유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